국토부 vs 서울시 용도지역별 건폐율 및 용적률 비교

부동산 개발 및 건축을 계획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건폐율과 용적률입니다. 이는 국토교통부(국계법)에서 정한 기본 규정과 서울시 조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토부 기준과 서울시 기준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건폐율 및 용적률이 제한되거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사례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건폐율 및 용적률이란?

✔ 건폐율: 대지 면적 대비 건축면적의 비율
✔ 용적률: 대지 면적 대비 건축물 총 연면적의 비율


국토부(국계법) vs 서울시 조례 강남구 용도지역별 건폐율·용적률 비교

용도지역국토부(국계법) 기준서울시 조례 기준
제1종 전용주거지역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100% 이하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100% 이하
제1종 일반주거지역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150% 이하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150% 이하
제2종 일반주거지역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200% 이하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200% 이하
제3종 일반주거지역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250% 이하건폐율 50% 이하, 용적률 250% 이하
일반상업지역건폐율 90% 이하, 용적률 1,500% 이하건폐율 60% 이하, 용적률 800% 이하

➡ 서울시는 국토부 기준보다 상업지역의 용적률을 낮게 설정하여 밀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건폐율 및 용적률 제한 사례

건축물의 건폐율 및 용적률이 법적으로 제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역사문화보존지구

  • 제한 내용: 문화재 보호를 위해 용적률 하향 조정
  • 관련 법령: 「문화재보호법」 제13조
  • 사례: 서울 북촌한옥마을 내 건축물 용적률 80% 이하

✅ 경관지구 및 미관지구

  • 제한 내용: 도시 경관 보호를 위해 건폐율 및 용적률 제한
  • 관련 법령: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
  • 사례: 남산 주변 건폐율 30% 이하, 용적률 100% 이하

✅ 자연환경보전지역

  • 제한 내용: 환경 보호를 위해 건축물 규모 제한
  • 관련 법령: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 사례: 강원도 산림보호구역 건폐율 20% 이하, 용적률 80% 이하

✅ 도로 폭에 따른 용적률 제한

  • 제한 내용: 도로의 폭이 좁을 경우 용적률이 제한됨.
  • 관련 법령: 「건축법」 제55조 (도로와 건축물의 관계)
  • 사례: 도로 폭이 6m 미만일 경우, 용적률 150% 이하로 제한됨.

✅ 일조권 제한

  • 제한 내용: 주거지역 내에서 일조권 보호를 위해 건물 높이 및 용적률 제한
  • 관련 법령: 「건축법」 제61조 (건축물의 높이 제한)
  • 사례: 남향 건축물이 많은 지역에서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해 용적률이 250%에서 200%로 축소됨.

✅ 사선제한

  • 제한 내용: 일정 높이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사선제한 적용
  • 관련 법령: 「건축법」 제62조 (건축물의 높이 제한 및 사선제한 적용)
  • 사례: 주거지역에서 높이 16m 이상 건축물에 대해 사선제한 적용으로 용적률 감소.

건폐율 및 용적률 인센티브 사례 및 관련 정부 사업

건축물의 건폐율 및 용적률이 완화(인센티브)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역세권 개발

  • 완화 내용: 대중교통 중심지 개발 촉진을 위해 용적률 증가
  • 관련 정부 사업: 역세권 활성화 사업
  • 관련 법령: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0조

✅ 재건축·재개발 사업

  • 완화 내용: 노후 주거지 정비를 위한 용적률 인센티브
  • 관련 정부 사업: 도시재생 뉴딜 사업
  • 관련 법령: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52조

✅ 친환경 건축물

  • 완화 내용: 친환경 인증 건축물 용적률 추가 혜택
  • 관련 정부 사업: 녹색건축물 조성 사업
  • 관련 법령: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14조

✅ 복합용도개발

  • 완화 내용: 주거·상업·업무 복합개발 시 용적률 증가
  • 관련 정부 사업: 스마트시티 조성 사업
  • 관련 법령: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7조

✅ 모아타운, 휴먼타운, 뉴빌리지 사업

  • 완화 내용: 저층 주거지 정비 및 공공주택 공급 촉진
  • 관련 정부 사업: 모아타운 프로젝트, 휴먼타운 조성 사업, 뉴빌리지 프로젝트
  • 관련 법령: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공공주택 특별법」

건폐율 및 용적률 인센티브 사례 및 관련 정부 사업

✅ 용도지역 변경 사례

📌 서울 강남구 역세권 개발

  • 기존 제2종 일반주거지역 → 준주거지역으로 변경
  • 용적률 증가(200% → 400%)로 상업 및 주거 복합개발 가능해짐

📌 부산 해운대 관광특구 변경

  • 기존 자연녹지지역 →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
  • 호텔, 리조트 개발 가능해져 관광 활성화 효과 발생

📌 경기 고양시 창릉 신도시 조성

  • 기존 농림지역 → 도시지역으로 변경
  • 대규모 신도시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 반영

결론

✔ 국토부 기준과 서울시 조례를 비교하면, 서울시는 용적률을 보수적으로 설정하여 도시 밀도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 반면, 역세권 개발, 재건축, 친환경 건축물, 지구단위계획, 모아타운 등은 인센티브를 받아 용적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개발 계획을 세울 때 국토법과 서울시 조례를 함께 검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건축·부동산 개발을 계획하고 계신가요? 법률적 규제와 인센티브를 고려하여 최적의 건축 전략을 수립해 보세요!

강남 빌딩 매매 관련 정보 더보기

서울시 조례·규칙 보러가기

Reset password

Enter your email address and we will send you a link to change your password.

Get started with your account

to save your favourite homes and more

Sign up with email

Get started with your account

to save your favourite homes and more

By clicking the «SIGN UP» button you agree to the Terms of Use and Privacy Policy
Powered by Estatik